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경기도 청년(19세~34세)인구 278만명 중 13만9000명(5%)가 고립·은둔 청년으로 추산됐다. 이는 점차 사회 병리현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적 유대를 강화하고 1인 가구 등 가족지원 정책을 활성화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청년의 고립·은둔, 진단과 대책' 보고서를 9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8월 보건복지부 실태조사 결과 전국 고립·은둔 청년은 약 54만명, 그중 국무조정실의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경기도 청년 13만9000명을 은둔형 외톨이로 추산했다.

보건복지부가 정의한 '고립 청년'은 타인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지 못하고 어려운일이 있을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없거나 어려운 청년이다. '은둔 청년'은 방이나 집 등 제한된 장소에 머물면서 타인 및 사회와의 관계 및 교류가 거의 없는 청년을 뜻한다.

가장 활발히 사회생활을 시작해야하는 시기에 외부와 단절하고 방에서 나오지 않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가정 내 불화, 취업 실패, 우울증, 학교 폭력 등 각기 다른 개인의 여건과 경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6개월 미만' 은둔 경험이 있는 청년 비율이 만19세~24세에서 49.7%로 가장 높았고, 7년 이상 은둔한 청년의 연령층은 30~34세가 7.4%로 가장 많았다. 

이들이 은둔 생활을 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기타'가 만 19세~24세에서 48.3%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취업실패'가 만25세~29세에서 44.4% 순으로 많았다.

보고서는 은둔형 외톨이가 늘어난 배경에 대해 ▲달라진 양육 형태로 인해 약해진 정서조절 능력 ▲인터넷 발달과 배달 문화 등 적절한 은둔 여건 ▲강화된 개인의 영역과 느슨해진 공동체성 등 크게 달라진 사회적 요인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진단했다.

이와관련 경기연구원은 은둔형 외톨이 지원 방안으로 ▲법제도적 근거 마련 ▲다양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중장기 가족지원 정책 추진 ▲육아휴직 유급 급여 지원제도 단계적 보완 ▲주양육자 지정 조기 퇴근 보장 제도 도입 ▲예비 부모 교육 활성화 ▲은둔형 외톨이 고령화 대비한 1인 가구 정책 모델 실험 ▲은둔을 새로운 삶의 유형으로 인정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정책 비전 수립 등을 제시했다.

먼저 경기도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는 단순 규모추정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원인을 진단하고 정책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하고 정책을 실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서적으로 유대하는 다양한 공동체 재구성을 이뤄야 한다고 제언했다. 느슨해진 혈연 공동체를 대신해 가치관과 지향점을 중심으로 유대하는 다양한 유형의 지역 공동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은둔형 외톨이가 스스로 사회에 나서도록 지역 단위 자조 모임을 활성화야 한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고령화에 대비해여 1인 가구가 극단적으로 고립하거나 단절하지 않도록 지역별 여견에 맞는 다양한 정책 모델 검토 등도 언급했다.

보고서 저자인 오재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당장은 은둔형 외톨이가 안전하다고 여겨 다가서고자 하는 지역적 유대를 활성화해야 한다. 투입 예산 대비 성과를 내야 하는 공공 위탁사업보다 당사자들의 자발적인 자조 모임 형식이 바람집하며, 크고 작은 지역 공동체의 초기 구심점이 될 전문가들의 동반활동도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중장기적으로 부모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한 가족을 구성하도록 예비부모교육을 활성화함으로써 개인의 고립과 은둔이 더 이상 확산하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