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0만명 넘게 늘었다. 동시에 비경제활동인구도 13만4000명 감소했다. 그러나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941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 7000명(1.2%) 늘었다.

그중 비경제활동인구는 1620만4000명으로 1년 전(1633만3900명)보다 13만4000명(-0.8%)감소했다. 그중 '쉬었음'이 7만4000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 쉬었음 인구는 60세 이상 5만9000명(6.0%)로 가장 높았고, 30대 1만3000명(4.9%), 15~29세 1만1000명 (2.8%) 등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50대는 1만명(-2.5%) 줄었다.

쉬었음 인구는 구체적 이유 없이 구직·취업 활동을 하지 않은 인구를 뜻한다. 고용률이 늘었음에도 경제활동에 나서야 하는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가 여전하다.

정부도 이러한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 증가를 두고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올해부터 쉬었음 청년의 유형별 특성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학·재직·구직 단계별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말 기획재정부는 쉬었음 청년의 노동시장 유입 촉진을 위한 단계별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을 예고한 바 있다. 올해 역시 고용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청년층의 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경험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연계까지 지원하는 일경험통합플랫폼을 운영할 예정이다. 아울러 청년들의 취업준비 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국가기술자격 응시료를 50% 할인 지원한다.

쉬고 있는 청년이 구직을 포기하지 않고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청년성장프로젝트를 신설한다. 청년들의 일상유지 지원과 심리상담 등을 통해 쉬고 있는 청년의 구직단념을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청년들에게 다양해지는 일경험 프로그램에 참여를 유도하고 고교생, 대학생은 진로설계부터 취업까지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성희 차관은 올해 고용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청년·여성·중장년 맞춤형 일자리 정책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1코노미뉴스 = 안지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