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가 청년층의 일자리지원 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올해 정부가 청년층의 일자리지원 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지난해 연간 고용률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는 여전했다. 취업준비생의 취업인식도에서도 10명 중 3명은 올해 채용 환경이 어둡다고 생각했다. 이에 정부는 올해 청년층의 취업문을 넓히기로 했다.

제조업 등 빈일자리 취업 청년에게 6개월간 최대 200만원을 지원하는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을 신설하고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중소기업에는 최대 1200만원의 장려금을 지원하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도 확대한다. 또 취업 과정에서 자신감을 잃은 청년들을 위한 '청년도전지원사업' 대상자도 늘린다.

17일 고용노동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달라지는 청년 일자리 10대 사업'을 공개했다.

먼저 일자리 미스매치를 줄이기 위해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을 올해 새롭게 시행한다. 제조업 등 빈일자리 업종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에게는 3개월차 100만원, 6개월 차 100만원 등 총 2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중소기업도 최대 1200만원까지 장려금을 지원하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을 확대한다. 실업기간이 6개월 이상인 청년에서 4개월 이상인 청년으로 지원요건을 완화한다. 이는 대학(원) 졸업 시 취업하지 못한 청년이나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을 수료한 경우, 대량 고용조정 신고 사업장에서 이직 후 취업한 청년도 포함된다.

또한 구직단념·자립준비 청년 등 다양한 일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을 확대한다. 세부적으로 인턴형, 프로젝트형, 기업탐방형, 기업ESG지원형 등을 포함한다. 기존 2만6000명에서 4만8000명으로 확대한다. 특히 니트족 특화 일경험(6000명)을 신설한다. 아울러 올해 '권역별 지원센터' 6개소를 지정하여 지역단위 일경험 프로그램을 발굴·확대한다. 타지역 인턴십에 참여하는 지역 청년에게는 체류비(월 20만원)도 신규로 지급한다. 

해외취업을 원하는 청년을 위한 'K-Move 스쿨' 사업을 2100명에서 3100명으로 확대한다. 외국어·직무 등 연수과정과 취업알선, 현지 사후관리까지 지원한다. 연수 과정에 참여하는 지역 청년들에게는 연수장려금을 신규 지원한다.

청년들의 수요가 높은 'K-디지털 트레이닝'은 3만6000명에서 4만4000명까지 확대한다. 훈련 분야에서도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디지털 분야뿐만 아니라 바이오헬스·반도체 등 첨단산업과 신기술을 융합한 분야 등 확대하여 훈련과정을 제공한다.

계속된 취업 실패, 자신감 부족 등으로 구직의욕이 떨어진 청년에게 지원하는 '청년도전지원사업'도 8000명에서 9000명으로 늘린다. 올해부터 프로그램 이수 후 취업하면 인센티브 50만원을 신규 지급하고, 취업에 실패했더라도 국민취업지원제도와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취업지원을 받을 수 있다.

청년들의 구직의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청년성장프로젝트'도 10개 광역자치단체에서 새롭게 시행한다. 여기에 동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관리자·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교육·컨설팅을 제공한다. 직장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에게는 직장 적응지원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34세 이하 청년의 국가기술자격 응시료도 50%를 지원한다. 단, 1인 당 년 3회 지원으로 제한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종목(493개)에 한해서다.

정부는 또 고교, 대학생에게 맞춤형 고용서비스 제공, 일경험 기회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고교생부터 대학생까지 취업활동 서비스 지원을 시행한다. 고교생 대상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신설하고 20개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선정하여 취업을 희망하는 고교생 1만명(직업계고·일반고 등)에게 진로상담, 취업연계까지 지원한다.

기존 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지난해 12개 대학(3만명)에서 올해 50개 대학(12만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저학년에게는 적성에 맞는 진로·직업 설계를, 고학년에게는 취업활동계획 수립과 취업준비 활동 시 참여수당(월 20만원)을 지급한다.

정부는 이같은 일자리 정책으로 지난해 지적된 청년 고용난을 타개한다는 전략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841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32만7000명(1.2%) 증가했다. 하지만 제조업 취업자 수는 4만3000명 감소한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는 14만3000명 늘면서,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취업자 수를 끌어올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실제로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36만6000명 늘어 전체 취업자 수 증가를 뛰어넘었지만, 청년층(15∼29세)에서는 9만8000명이 감소했다. 청년 인구 감소 등의 영향도 있지만, 청년층 고용률(46.5%) 자체가 저년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는 점에서 청년 고용난이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여기에 비경제활동인구는 1620만4000명으로 13만4000명 감소했지만, '쉬었음'이 7만4000명 늘면서 니트족 증가 우려가 커졌다. [1코노미뉴스 = 안지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