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공황장애 환자 수 24만2434명

최근 사회적으로 우울감, 불안감을 호소하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공황장애 유병률도 늘고 있다. 특히 중장년 1인 가구의 경우 심리적 돌봄 사각지대에 있어 대책 마련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 = 1코노미뉴스
최근 사회적으로 우울감, 불안감을 호소하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공황장애 유병률도 늘고 있다. 특히 중장년 1인 가구의 경우 심리적 돌봄 사각지대에 있어 대책 마련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 = 1코노미뉴스

최근 사회적으로 우울감, 불안감을 호소하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공황장애 유병률도 늘고 있다. 특히 중장년 1인 가구의 경우 심리적 돌봄 사각지대에 있어 대책 마련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6일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공황장애 환자 수는 2018년 16만8636명에서 2022년 24만2434명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5년 만에 43.76%나 늘어난 수치다. 

환자 수가 늘면서 요양급여비용도 늘었다. 2018년 549억7690만9000원에서 960억7448만2000원으로 무려 74.75% 증가했다. 

공황장애는 상대적으로 유병률이 낮아, 정책적 지원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1년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평생 유병률은 0.4%에 불과하다. 

하지만 평균 발병 연령은 25세로 젊다. 더 큰 문제는 청년기에 시작된 공황장애가 중장년기에 극에 달하면서 만성화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40·50대에는 사회·경제적으로 스트레스는 쌓이는 반면 이를 해소하는 데에 소홀해진다. 또 우리나라의 경우 타인의 시선을 과도하게 의식하고, 정신질환에 대해 거부감도 크다.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통계 연도별 공황장애 환자수 추이./그래프 =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통계 연도별 공황장애 환자수 추이./그래프 =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렇다 보니 공황장애 환자의 절반가량이 중장년층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1년 공황장애 현황을 보면 전체 진료 인원 중 40대가 23.4%로 가장 많고, 50대가 19.2%로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산 시기, 사회적으로 우울감이 증대했는데 지난해 경기침체가 연속으로 오면서 중장년층이 받는 정신적 압박감이 더욱 가중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홀로 생활하는 중장년 1인 가구는 한층 더 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50대 1인 가구 황준만(가명) 씨는 최근 공황장애 진단을 받았다. 이혼의 충격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원인이다. 황 씨는 "일상생활 중 메스꺼움과 숨이 안 쉬어지는 답답함이 생겨 건강검진을 받았다. 그런데 아무런 증상도 나오지 않았다"며 "계속 몸 상태가 안 좋아지고 있는데, 혼자 살다 보니 그 사실을 몰랐다. 공황발작이 오고서야 공황장애인 것을 알게 됐다"고 전했다. 

40대 1인 가구 박수오(가명) 씨도 공황장애 초기로 약물치료와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그는 "처음에는 연예인만 걸리는 병인 줄 알았다. 그래서 회사 심리상담센터도 가지 않았다. 이력이 남으면 인사고에 불이익을 받을까 두려워서였다"며 "주변에 심각한 공황장애가 생긴 이가 있어서 설마 하는 마음에 병원을 찾은 게 다행이었다"고 말했다. 

공황장애 유병자들은 건강검진처럼 정신건강검진을 의무화하고, 대상자 확대와 진료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러한 지원이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오해 자체를 줄일 수 있고, 접근성 역시 개선할 수 있어서다. 

전문가들도 중장년 1인 가구가 고독사 위험군으로 꼽히는 만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심리적 돌봄 확대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정책적인 부분에서는 달라진 것이 없다. 

정부는 은둔형 외톨이 문제 확산, 자살률 감축 등을 위해 청년층(20~34세)만 건강검진 주기를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고 검진항목을 확대할 예정이다. 

백종우 경희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정신질환의 유병률, 방치된 환자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국민과 환자 안전을 위한 치료와 서비스 대책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김영범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도 "사회적 고립 문제는 중장년층 남성에게서 더 심각한 결과를 낳고 있다. 사회적 네트워크가 끊기면서 발생하는 부정적 요소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