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돌봄 로봇을 보고 있는 홀몸노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기기./사진=서울시, 보건복지부
(왼쪽부터) 돌봄 로봇을 보고 있는 홀몸노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기기./사진=서울시, 보건복지부

노인 인구 1000만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지자체의 맞춤 정책이 확대되고 있다. 올해 서울시는 AI·IoT 기기를 앞세운 스마트돌봄 확대를, 경기도는 응급상황 안전지원을 강화한다. 

6일 서울시는 인공지능(AI), 로봇·사물인터넷(IoT) 등 스마트 기기를 확대해 돌봄 공백을 메우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돌봄이 절실한 홀로 생활하는 노인의 건강과 안전을 확인하는 반려로봇과 안전관리기기를 보급한다. 지난해 430대 보급에 이어 올해는 외부활동을 꺼리는 노인에게 반려로봇 50대를 추가 지원하고, 안전관리기기를 통한 모니터링을 지속한다.

반려로봇은 안부확인과 투약안내 등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다. 홀몸노인의 정서적 돌봄이 이뤄짐에 따라 우울감을 줄이고 사회와 연결하는 매개체로 각광 받고 있다. 

안전관리기기는 홀몸 노인의 움직임, 온도, 습도 등 6개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12시간 이상 홀몸노인의 움직임이 없는 등 이상신호감지시 생활지원사에게 자동으로 알림이 발송된다. 현재 1만3070가구에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움직임이 어려운 와상환자의 배변과 세정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배설케어 로봇도 시범 운영 중이다. 현재 서울 시립요양원에서 2대를 운영 중이며, 안전성과 효과성 검증 후 하반기에 11개 요양원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인지·상지 재활을 돕는 로봇은 4개 요양원에서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하반기에 5곳으로 늘릴 예정이다. 또 착용 시 최대 15kg의 근력을 보조해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웨어러블로봇도 10대가 공급돼 시범 운영한다.

경기도청사./사진=경기도
경기도청사./사진=경기도

경기도는 올해 홀몸 노인 36만명을 위해 응급상황 안전지원 등 4대 주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안부 확인과 일상돌봄서비스 ▲응급상황 안전지원 ▲맞춤형 사례관리 ▲5개 시군 틈새돌봄서비스다.

정기적인 안부 확인과 일상돌봄서비스 제공에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있다. 도는 지난해 대상자 6만6609명에서 올해 5795명 늘어난 7만2404명으로 확대했다. 또 도내 서비스 제공기관을 113개소에서 116개소로 늘렸다.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취약해 일상생활 및 가사 지원의 필요가 큰 중점돌봄 노인의 서비스 제공 시간도 최소 월 16시간에서 월 20시간으로 강화했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올해부터 소득과 상관없이 위기 상황의 모든 홀몸노인을 대상으로 지원한다. 대상자는 지난해 2만8503명에서 올해 3만8303명으로 확대했다. 응급상황 대응을 위한 응급관리요원도 기존 103명에서 올해 118명으로 늘렸다. 수행기관 역시 34개소에서 36개소로 확대했다.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는 도내 53개소에 설치되어있다. 올해 센터에서는 일시적 간병지원, 치료식 지원, 생활체육·운동프로그램, 사회관계 형성·활성화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이는 노인이 거주하던 지역사회에서 지속 거주를 돕고 사각지대에 있는 홀몸노인을 발굴해 지원한다.

지역 맞춤형 틈새돌봄사업은 치료식 식사제공사업과 차량동행사업을 지정했다. 공모를 통해 5개 시군을 선정했다. 부천시, 의정부시, 양주시는 노인성질환자, 퇴원환자, 치주질환자 등 치료식 식단이 필요한 노인에게 치료식 식사를 직접 집으로 배달한다. 또 성남시, 화성시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위한 병원 방문, 공공기관 방문 등 외출을 돕는 차량·동행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한다. [1코노미뉴스 = 안지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