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혼인 건수가 19만4000건으로 전년대비 1.0% 증가했지만, 여전히 20만건의 벽은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지난해 혼인 건수가 19만4000건으로 전년대비 1.0% 증가했지만, 여전히 20만건의 벽은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지난해 혼인건수가 전년 대비 반등했다. 소폭이지만 12년 만에 혼인건수가 늘었다. 인구절벽 시대에 희망적 수치로 해석될 수 있지만,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엔데믹으로 발생한 일시적 기저효과일 뿐이라고 분석했다. 

심지어 올해 혼인건수 급감을 전망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N포 세대'로 불리는 30대 청년들의 결혼 기피 현상이 심해졌고, 지난해 연말로 갈수록 혼인건수가 급격히 감소해서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건수는 19만4000건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다. 

2011년(0.9%) 이후 처음으로 반등에 성공했지만, 코로나19 확산 후 무너진 20만건 벽을 넘지는 못했다. 

지난해 혼인건수는 코로나19 엔데믹에 접어들면서 상반기 급증세를 보였다. 실제로 당시 미뤄뒀던 예비신혼부부가 몰리면서 예식장은 북새통을 이뤘다. 코로나19로 문을 닫은 예식장 부족으로 수개월 이상 대기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기수요가 소진되면서 혼인건수는 하반기 빠르게 감소세로 돌아섰다. 7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5.3% 줄었고, 9월과 12월에는 각각 12.3%, 11.6% 감소했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코로나19로 미뤄졌던 혼인이 2022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몰렸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대기수요가 빠져나간 후인 하반기 혼인건수 급감에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이같은 분위기가 이어질 경우 연간 혼인건수 급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돼서다. 

무엇보다 청년층의 결혼기피 성향이 짙어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지난해 연령별 혼인건수를 보면 혼인연령이 높아졌다. 남녀 모두 30대가 혼인적령기이지만, 40대 혼인건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남자의 경우 40~44세가 8.3%나 증가했다. 여자도 5.6%로 30~34세(5.8%)에 이어 두 번째를 기록했다.

이처럼 만혼 성향이 짙어지는 이유로는 20·30대의 달라진 결혼관이 꼽힌다. 실제로 최근 청년층에서는 경제적 압박감으로 결혼을 미루는 분위기가 엿보인다. 

앞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저출산 분야 현안 분석 및 정책 발굴을 위한 심층 연구 자료를 보면 결혼할 의향을 묻는 말에 19~49세 남녀 절반 이상이 '있다'고 답했다. 

문제는 결혼 의향만 있고, 실행은 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경제적 요인이 꼽힌다. 결혼 비용, 주거 비용, 양육비 부담 등이다. 

저출산도 마찬가지다.  전체 응답자의 향후 자녀 계획에 대한 응답에서는 '낳지 않을 생각이다'가 4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낳을 생각이다'가 28.3%에 그쳤고,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19.9%, '생각해 본 적 없다' 5.9% 순으로 부정적인 의견이 높았다

30대 1인 가구 장아름(가명) 씨는 "연애를 하고 있어서, 결혼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 서로 의향은 확인했지만, 경제적인 부담이 너무 커서 30대 후반쯤으로 미루기로 했다"며 "나이가 있으니 아이를 낳지 않고 둘이 행복하게 살면 되지 않을까 한다"고 전했다. 

또 다른 1인 가구 박준모(가명, 40세) 씨는 "결혼 의향을 물으면 있다고 답하겠지만, 사실상 포기에 가깝다. 저출산 심각하다고 하지만 자녀를 갖는 것도 당연히 포기"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도 우리나라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혼인건수가 10년 만에 반등했다. 

이에 대해 둥위정 광둥성 정부 참사실 특약연구원은 "청년층의 결혼·양육 의지를 높이는 적극적인 정책이 없다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2010년 이후 중국의 결혼 연령이 계속 늦춰지고 있는 등 사회적인 결혼 관념이 바뀌었고, 더는 결혼과 출산을 인생의 필수 과정으로 간주하지 않는 인식도 생겼다며 이런 요인 역시 향후 혼인 건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