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미리캔버스
사진=미리캔버스

지방으로 갈수록 고령화가 심각하다. 이에 농어촌 독거노인 고립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6일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22년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17.5%(901만8000명)를 차지했다. 2025년에는 20.6%(1050만명)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동시에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독거노인 가구는 2016년 18.8%(127만명)에서 2022년 20.8%(185만명)로 급증했다.

그중 농어촌의 독거노인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주철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통계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전라남도 독거노인 가구 비율(2021년 기준)은 14.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경상북도와 전라북도가 각각 12.4%, 12.2%로 뒤를 이었다.

농촌 고령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지만, 노인 고립 문제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보건복지부의 자살예방 백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자살 현황으로 3392명이 고의적 자해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 고독사 문제 또한 지목받았다.

주 의원은 지난달 2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상수산위원회 농림부 업무보고에서 농림축산식품부의 선제적인 역할 강화를 주문한 바 있다.

주 의원은 "고독사, 노인 빈곤 문제는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우리가 풀어나가야 할 가장 큰 숙제"라면서 "농어촌 현실을 가장 잘 아는 농림부가 다른 부처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노인정책을 추진하고, 고독과 사회적 고립, 그리고 노인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제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전국 시군구 절반가량이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소멸위기지역으로 나타났지만, 정부의 지원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2021년도 보건복지부 소관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개요에 따르면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노인을 대상으로 안전점검 및 사회참여를 지원하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2020년 3682억에서 4137억으로 45억원 증액됐다. 다만, 지원규모는 50만명으로 전체 노인 수 대비 5.8%에 그쳤다. 이는 소멸위기지역으로 갈수록 줄어든다.

지자체가 독거노인 가구의 고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 밖에도 농어촌의 독거노인의 경우 의료기관까지 이동시간이 길어 의료기관 접근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일수록 각종 질환에 노출된 경우가 많아 신체건강, 정신건강 등 다방면으로 취약한 경우가 많다.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보건의료서비스의 확대 등 의료기관 접근성 강화가 필요한 이유다.

이에 정부는 농어촌 독거노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정책지원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독거노인 가구처럼 주민별로 맞춤형 정책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복지실태 변화를 계속 모니터링 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