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의 월평균 양육비용이 15만원에 해당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사진=1코노미뉴스
1인 가구의 월평균 양육비용이 15만원에 해당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사진=1코노미뉴스

1인 가구의 반려동물 서비스, 펫푸드 등에 소요되는 월평균 양육비용이 1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월평균 양육 비용(13만원)보다 2만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년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3일~10일 전국 만 20세~64세 5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반려동물 월평균 양육비용은 13만원(병원비 포함)이 들었다. 1인 가구는 15만을 지출했다. 이 외에 2인 이상 가구는 월평균 12만원에 머물렀다. 월평균 소득이 높은 가구일수록 평균보다 양육비 지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의 양육비용(16만6000원)이 고양이 양육비용(11만3000원)보다 더 지출됐다. 반려동물 월평균 병원비는 지출은 4만3800원이었다.

최근 1년간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 이용 경험 비율은 '동물 병원'이 80.4%로 가장 높았다. 이어 '반려동물 미용' 51.8%, '반려동물 놀이터' 33.2%, '반려동물 호텔' 16.0% 순이었다.  

응답자 중 향후 1년 이내 '반려동물 입양 계획이 있다'는 응답자 비율은 6.9%(346명)로 나타났다. 이들 중 84.4%는 '유실·유기 동물을 입양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유실·유기 동물 입양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연령이 높은 경우'가 38.9%로 가장 높았고, '절차 모름' 27.8%, '질병·행동 문제' 25.9%, '마음에 드는 품종이 없을 것 같다' 7.4% 순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동물보호법에 대해 71.8%가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2020년(57.1%) 이후 꾸준히 증가한 수치다. 동물복지 요소 강화 필요도에 대해서 '그렇다'라고 답한 비율도 75.0%로 높게 나타났다.

동물등록제 인지도 또한 63.6%로 2020년(50.6%) 대비 13.0%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반려동물 양육자 76.4%는 동물등록을 완료했다고 답했다. 다만 이는 지난해(77.0%)보다 0.6% 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반려견 양육자 준수사항 인지도와 준수사항에 대한 인지도는 56.4%였다. 또한 반려견 양육 여부별로 보면 양육자는 지키고 있다는 비율이 85.5%로 높게 나타난 반면, 비양육자는 34.5%만 지키고 있다고 응답해 차이를 보였다.

동물 학대를 목격할 경우 '국가기관(경찰, 지자체 등)에 신고한다'는 응답이 59.9%로 절반을 넘었다. 이어 '동물보호단체에 도움 요청'(50.9%), '학대 중단 직접 요청'(25.2%),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음'(8.4%) 순으로 집계됐다.

반려동물 입양 경로로는 '지인에게 무료로 분양받음'이 41.8%로 가장 높았다. 이어 '펫숍에서 구입'(24.0%), '동물보호시설'(8.9%), '지인에게 유료로 분양'(8.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인 중 18.2%는 반려동물 양육 포기를 고려했다고 답했다. 이유는 '짖음 등 행동문제'가 45.7%로 가장 많았고 '예상외 지출 과다' 40.2%, '이사·취업 등 여건 변화' 25% 등 순으로 나타났다. [1코노미뉴스 = 안지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