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하다. 대중교통을 타면 손 소독과 마스크 착용을 강조하는 방송이 연일 반복되고 서울시는 청계천 광장, 종로 등 시민단체 집회를 금지시켰다. 세계 91곳의 나라에서는 한국인 입국마저 제한했다.

4일 현재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5000명을 넘어섰고, 사망자도 30명을 돌파했다.

불안한 상황이 계속되자 '마스크' 공급이 문제로 떠올랐다. 이미 코로나19 발생 초부터 마스크 대란은 벌어졌다. 하지만 정부의 안일한 조치는 계속됐고, 확진자 5000명을 넘긴 시점에서 '마스크'는 '금스크'가 됐다.

바이러스 감염을 막아줄 유일한 '방어막'이 부족해진 국민들은 불안과 분노에 휩싸였다.

정부가 지난 2월 27일 약국, 우체국, 농협 등 공적 판매처를 통해 매일 마스크 350만장을 공급하기로 하면서 이러한 분노는 더 커졌다. 제대로 된 공급처 확보도 없이 계획만 덩그러니 던져놨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선 약국의 약사에게 직접 물어보니 "정부에서 발표는 그렇게 했지만 공급이 될지 아직 모른다" 면서 "마스크는 이미 2주 전부터 들어오지 않았고 언제 들어올지 모른다"고 말했다.

농협과 우체국에서도 마찬가지다. "한 차례 마스크가 들어왔지만, 이후로 다시 공급되지 않는다"는 대답만 돌아왔다.

정부의 발표를 믿은 시민들의 헛걸음만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3일 마스크 공급과 관련해 "국민께 매우 송구스럽다"면서 사과했다. 이어 "최대한 생산 물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하고, 최대한 공평한 보급 방안을 강구 하라"고 지시했다.

마스크 수출도 거의 봉쇄한다는 계획이다.

코로나19 발생으로 마스크 대란이 발생한 직후에 이를 시행했다면 국민들의 불안감은 한층 감소했을 것이다. 정부 역시 마스크 공급이 아닌 중국 수출과 사재기가 원인이란 점을 알고 있다.

마스크 사용법 개정안도 입방아에 올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마스크 사용지침'을 통해 오염 우려가 적은 곳에서 마스크를 일시적으로 사용한 경우 동일인에 한해 재사용이 가능하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오염이 적은 곳'이라는 표현이 모호했다. 마스크를 얼마나 써야 오염이 되는 것인지에 대한 표준 기준은 정해진 것이 없고, 개인 사용 여부에 따라 기준을 정하기도 어렵다.

특히 식약처는 얼마전 까지만 해도 코로나19 방지를 위해 KF80, KF94와 같은 식약처가 인증한 마스크 사용을 권장했었으며, 마스크 재활용은 하지 않을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정부가 마스크 공급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은근슬쩍 지침을 바꾼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보건용 마스크를 재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

정부의 갈팡질팡한 대처로 피해보는 것은 국민이다. 국민이 있기에 정부가 있다는 것. 민주주의 국가에 최상단은 국민이고 그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가가 해야할 최우선 과제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