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과 나눔에서 무연고 사망자 합동장례식을 치르고 있다. /사진=안지호 기자 
나눔과 나눔에서 무연고 사망자 합동장례식을 치르고 있다. /사진=안지호 기자 

 

아무도 모른 채 홀로 쓸쓸히 죽어가는 이들이 늘고 있다. 우리는 이를 '고독사'라고 부른다. 고독사는 극한의 고독 속에서 홀로 쓸쓸히 맞이한 죽음을 뜻한다. 같진 않지만 비슷한 단어로 '무연고 사망'이 있다.

무연고 사망은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장례 시점에 법이 규정한 연고자가 없거나, 연고자를 파악할 수 없거나, 연고자가 시체 인수를 거부한 죽음을 뜻한다. 둘 다 홀로 죽음을 맞이한다는 점은 공통분모다. 이는 모두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나타난 사회 현상 가운데 하나다. 

최근에는 가족과 연락을 끊고 자발적 고립을 선택한 1인 가구 비중도 꽤 높다. 가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고립된 경우 우울증이나 좌절감 등 정신적 문제가 거의 대부분 나타난다. 스스로를 실패자로 낙인찍고 가족·형제·지인 등과의 연락을 스스로 끊어버린 경우다. 1인 가구로 살더라도 모든 인간관계까지 끊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존감의 훼손 없이 사회 시스템 안으로 들어오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달 16일 오전 부산 영도구 동삼동 한 아파트에서 홀로 살던 60대 여성 A씨가 숨진 지 수개월 만에 발견됐다. 현장을 찾은 검안의는 A씨가 숨진 지 최소 6개월 이상 됐다는 소견을 냈다. 고독사로 발견된 A씨 주변에는 키우던 반려견 한 마리도 함께 숨져 있어 주변 안타까움을 더했다. 

A씨의 시신은 '연락이 안 된다'는 아파트 관리소장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대원과 행정복지센터 직원에 의해 발견됐다. 조사에 따르면 기초생활수급자였던 A씨는 오랫동안 조현병과 정신질환 등을 앓아왔다. 가족과 연락이 끊어진 지 이미 오래됐다는 게 주변 이웃의 말이다. 외부와 연을 끊고 은둔형 생활을 해 온 것이다. 

지난 10일 서울 관악구 신림동 한 아파트에서 60대 남성 B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고독사로 발견된 B씨는 생활고에 시달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고독사가 급격하게 증가하자 정부도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 대처 마련에 적극 나서는 모양새다. 

◇"정부 힘으론 벅차" 요양·실버 산업 등 민간 연계해야 

고독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도 발 벗고 나섰다. 2021년 4월부터는 '고독사예방법(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됐다.

중앙행정기관장과 시·도지사는 매년 말일까지 다음 해 '고독사 예방 시행 계획'을 제출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각 지자체도 고독사를 막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강구 중이다. 고독사 예방 교육이 바로 그중 하나다.  

지역별 1인 가구가 가장 높은 대전시의 경우 대덕구노인종합복지관에서 지난 1월부터 현재까지  고독사 예방 교육을 실시 하고 있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특화서비스) 차원에서 우울형(45명),은둔형(5명) 등 총 50명의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사례관리를 진행 중이다. 

프로그램에 참석한 김 모(82)씨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져 기분이 울적하고 외로울 때가 많았는데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새로운 친구도 사귀고 예쁜 꽃과 무지개 여행을 할 수 있어 요즘 너무 행복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문제는 지자체 마다 고독사 예방 프로그램이 가동 중이지만 전문가들은 좀 더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박진옥 나눔과나눔 사무국장은 "지자체 의지만으로는 벅차다. 명칭부터 고독사가 아닌 고립사로 바뀌어야 한다"라며 "고독사는 생각보다 주변에 있다. 국회가 2020년 3월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만들어 가족으로부터 단절되고 사회적으로도 고립된 채 홀로 임종을 맞이하는 고립사를 막기 위해 정부가 정기적으로 실태조사를 하고,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대책을 수립·시행하게 했다. 이 법은 지난해 4월 1일에 시행됐다. 이러한 국회와 정부 차원의 대응도 의미 있지만, 제도가 마련되었다고 곧바로 고립사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사무국장은 "근본적 변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 이웃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사느냐가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과 그로 인한 고립사 해결의 핵심요소"라고 강조했다. 또 "서울시에서 강조한 비대면 안부 확인 서비스의 실효성 있는 운영을 위해, 사설 복지시설 등 민간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인간관계의 단절로 인해 발생하는 부분도 꼬집었다. 

박 사무국장은 "어떠한 사회현상이 수면 위로 드러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IMF외환 위기가 만들어 낸 가족해체가 15년이 지나고 사회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해서 현재는 그 정도가 더 심각해지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19로 인한 관계 단절과 고립이 어떠한 방식으로 사회문제로 나타날지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