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노인 집이 수해피해를 입은 모습./사진=고양시
독거노인 집이 수해피해를 입은 모습./사진=고양시

지난 8일부터 내린 집중호우로 고령층의 사망사고와 수해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1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6시 기준 집중호우로 인해 13명이 숨지고 6명이 실종됐다고 밝혔다. 그중 사망자는 서울 8명, 경기 3명, 강원 2명 등 13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실종자의 경우 서울 1명, 경기 3명, 강원 2명이다. 이어 거주지를 떠나 대피한 사람은 7개 시도, 54개 시·군·구에서 6299명에 달한다.

특히 주거취약에 놓인 고령층의 피해도 잇따랐다. 

지난 9일 경기도 고양시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해 독거노인이 수해피해를 입었다. 독거노인이 거주하던 낡은 주택은 수해로 모든 것이 망가졌고, 폭우로 짓이겨진 연탄 등이 집안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등 피해를 입었다.

이에 고양시는 피해 독거노인의 임시거처를 위해 LH가 제공한 '희망더하기주택'으로 안내했다. 시가 운영하는 희망더하기주택은 자연재해나 경제위기, 가정폭력 등으로 인한 주거위기 가구에게 제공된다.

또한 시는 피해 노인이 임시거처를 이용하는 동안 주거상담, 복지서비스 연계 등 주거확보를 위한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하지만 임시거처는 3개월 거주(최장 6개월)만 해당한다.

지난 8일 인천시에서도 집중호우로 인해 산아래 옹벽이 유실되는 등 추가붕괴,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경찰은 거주자들을 다른 곳으로 즉시 대피시켰다. 그중 노후된 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위해 지자체는 임시대피처를 마련했다.

아울러 이번 폭우로 주거취약 가구 재해 예방 문제에 따른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지자체는 재해가 발생하면 문자메시지나 SNS를 통해 전파한다. 하지만 고령층의 경우 이를 파악하기 어렵고, 건강상의 문제로 대피가 쉽지 않은 이들을 대피시킬 비상 인력 또한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재해 발생 시 주변을 알고 있는 이웃주민들이 상황에 따라 대피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 마저도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는 이번 수해피해가 늘어나자 주거취약 가구에게 대해 근본적인 대책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 10일 원희룡 국토부장관은 "국가가 안전취약 가구에 대해 사전에 위기 대책에 미흡했다"면서 사과했다. 이어 "재난 대비 인프라 구축, 주거환경정비, 취약구조 주택 개선 등을 통해 반지하, 쪽방 등 안전취약가구 거주자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