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10명 중 6명, 소득 부족해

사진=미리캔버스,1코노미뉴스/디자인=안지호 기자
사진=미리캔버스,1코노미뉴스/디자인=안지호 기자

급격한 고령화로 노후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노후 준비 수준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년 전보다 실제 소득 수준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가구 비중이 높아졌다. 

16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 변화'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8.4%로 2037년에는 31.9%, 2070년에는 46.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37년을 기점으로 75세 이상 인구가 65~74세 인구보다 늘면서 2070년, OECD 주요국 중 1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대여명 자체가 2021년 기준 65세는 21.6명, 75세는 13.4년으로 10년 전보다 각각 2.2년, 1.6년 증가해서다. 건강상태 역시 2022년 기준 65~74세는 32.8%가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75세 이상은 18.9%다. 이는 10년 보다 각각 9.9%포인트, 5.2%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노인인구가 급격히 늘어날수록 노후 준비의 중요성도 높아진다. 

자료를 보면 2021년 기준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65~74세는 66.8%, 75세 이상은 42.7%에 불과하다. 65~74세 노인 10명 중 3명은 아무런 대책이 없다는 의미다. 75세 이상은 절반 이상이 노후 준비를 하고 있지 않다. 

노후 준비 방법도 공적연금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2021년 기준 노후 준비 방법은 65~74세, 75세 이상의 경우 각각 62.6%, 52.9%가 공적연금을 꼽았다. 사적연금은 각각 5.8%, 3.8%에 불과하다. 심지어 이는 10년 전보다도 낮아졌다. 

공적연금 수급률은 높을까? 2021년 65~74세, 75세 이상 고령자의 수급률은 각각 62.3%, 45.1%에 불과하다. 

노후준비를 공적연금에 의존하는 상황과 달리 실제 생활비 마련은 65~74세, 75세 이상은 각각 78.7%, 46.0%가 본인·배우자가 부담하고 있다. 그 방법으로 65~74세는 근로·사업소득(54.2%)이 가장 높고 75세 이상은 연금·퇴직급여(42.4%)가 가장 높다. 

이렇다 보니 노인 빈곤율 문제가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그나마 상대적 빈곤율은 2021년 66~75세, 76세 이상 각각 30.5%, 51.4%로 10년 전보다 감소했다. 하지만 평균 생활비와 비교해 실제 소득수준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가구 비중은 각각 59.3%, 63.8%를 기록, 10년 전보다 늘었다. 

소득이 부족한 고령층의 취업 의사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65~74세 고령자는 59.6%이고, 75~79세 고령자는 39.4%를 기록했다. 10년 전보다 각각 11.9%포인트, 11.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취업 희망 사유도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라는 답변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고령화 추세를 감안하면 현재의 노후준비 인식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공적연금에 더해 퇴직연금, 사적연금 등을 준비하지 않으면 소비절벽에 따른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경우 노후 수입원의 60~70%가 공·사적연금이다. 연금만으로도 노후 생활이 된다는 의미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2019년 기준 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17.4%에 불과하다. 

실제로 2023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르면 기준 중위소득 최저생계비는 1인 가구 207만7892원, 2인 가구 326만85원이다. 또 노후 적정 생활비로는 1인 가구 177만3000원, 2인 가구 277만원이 꼽힌다. 

하지만 올 1월 말 기준 국민연금 평균 수급액은 월 61만7603원이다. 월 100만원 이상 노령연금 수급자는 64만6264명에 불과하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