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킹, 주거침입 등 범죄가 매년 늘고 있다. 이에 1인 가구의 불안도가 여전하다. 이에 정부에서는 '스마트 안전'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사진=미리캔버스, 고양시
스토킹, 주거침입 등 범죄가 매년 늘고 있다. 이에 1인 가구의 불안도가 여전하다. 이에 정부에서는 '스마트 안전'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사진=미리캔버스, 고양시

스토킹, 주거침입 범죄가 끊이지 않으면서 1인 가구의 불안이 여전히 높다. 이에 정부, 지자체 등은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범죄 예방을 확대하는 가운데, 범죄 예방 효과의 귀추가 주목된다.

18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스토킹 범죄 피해에 따른 경찰 신변보호 조치가 7091건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하루 평균 19.4건의 스토킹 피해자 신변호조 조치가 이뤄진 셈이다. 스토킹 범죄 피해자 신변 보호 조치는 2021년 1428건에서 올해 상반기 3754건으로 급증했다.

스토킹을 포함한 전체 범죄 유형에 대한 신변보호 조치 건수는 ▲2018년 9442건 ▲2019년 1만3686건 ▲2020년 1만4773건 ▲2021년 2만4810건 ▲2022년 2만9372건 등 5년 동안 3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주거침입 범죄 역시 2018년 1만3000여건에서 2020년 1만8000여건을 넘어섰다.

직장인 권영진(32·가명)씨는 밤늦게 퇴근할때가 가장 무섭다고 말한다. 권 씨는 "야근이나 회식 후 퇴근할 때가 가장 불안하다. 스토킹, 묻지마 범죄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늦은 시간 뒤에 누가 따라오는 것만 봐도 조심하게 된다"라고 말했다.

직장인 김경은(27·가명)씨는 한 달 전 사비를 통해 보조잠금, 경보기 등을 구입했다. 김 씨는 "그동안 그럭저럭 생활했지만 스토킹이나 주거침입 소식이 너무 잦아 불안이 커졌다. 현재 생활하고 있는 곳이 골목진 곳이어서 안전장치를 따로 구비해 설치했다"라고 말했다.

이들의 범죄 불안도가 높아짐에 따라 최근 정부, 지자체 등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범죄 예방을 확산하고 있다.

먼저 서울시는 범죄 예방을 위해 선보였던 안심이앱의 신규 3종 서비스를 오는 20일부터 추가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안심이 앱은 서울 전역 자치구 8만여 대의 지능형 CCTV와 관제센터를 연계한 서비스, 안심귀갓길, 안심귀가 택시 등을 제공하고 있다. 시민이 위급한 상황에서 앱으로 신고하면 사용자 주변의 CCTV를 파악해 경찰출동까지 지원한다.

실제로 2월 2일 서울 강동구에서 안심이앱을 통한 긴급신고가 접수됐다. 이에 자치구 관제센터는 경찰 출동과 동시에 상황 종료까지 관제해 신고자 A시의 안전 귀가를 도왔다. A씨는 "예전 귀갓길에 어떤 남자가 따라온 적이 있었다"며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러 나왔다가 그 남자가 주변을 서성거리는 것을 보고 앱으로 신고했다"라고 말했다.

이번에 신규 추가되는 서비스는 ▲사전에 등록한 보호자(지인)가 실시간 나의 위치를 확인하는 '안심친구' ▲스마트보안등, CCTV, 지구대 등 안심시설이 설치된 경로로 안내하는 '안심경로' ▲스토킹 피해자 집 문에 스마트초인종(도어벨) 영상을 CCTV관제센터에서 실시간 확인하는 '안심가드'다.

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안심이앱의 이용률도 급증했다. 지난해 1월~11월 기준 앱의 다운로드 수는 2만3886건에서 올해 같은 기간 6만8873건으로 약 3배 증가했다.

경기도는 지능형 CCTV 시스템을 기반으로 스마트안전센터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고양시는 관제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인공지능(AI)기반 지능형 선별관제시스템을 지낸해 300대에 이어 500대를 추가로 확대 설치한다. 현재 지역 내 설치된 CCTV 8967대를 대상으로 365일 24시간 동안 통합관제시스템을 시행 중이다. 또 지난 9월부터 스마트안전센터(구 시민안전센터)는 경찰서, 소방서, 군부대, 시청 재난상황실 등과 협조 체계를 구축했다.

이어 광주시에서도 인공지능(AI)을 활영한 지능형 선별관제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사건 사고, 범죄 등 긴급상황에서 AI를 활용한 CCTV 시스템으로 초동 대처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현재까지 CCTV1337개소 3912대를 24시간 모니터링 중이다.

올해 정부에서도 스토킹 등 초기 예방 대응을 위해 지능형CCTV 도입을 넓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지난 8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능형 CCTV 성능시험·인증 분류체계를 개편했다. 범죄 발생 및 불안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능 체계를 보다 세밀하게 평하기 위해서다.

내년 스토킹 예방 고도화 등 사회안전에 반영할 수 있는 분야 발굴을 추진할 계획이다. [1코노미뉴스 = 안지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