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1코노미뉴스,미리캔버스
사진=1코노미뉴스,미리캔버스

다수의 고령자들이 연금을 받고 있지만 생계유지를 위해 일자리에 뛰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5년간(2017~2022년) 통계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55~79세 고령인구의 노후실태 및 취업현황'을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연금을 받으면서도 일을 놓지 못하는 55~79세 고령인구는 370만3000명으로, 5년 전(2017년 5월 252만4000명)에 비해 47.7% 증가했다. 연금은 받는 55~79세 고령인구 중 일하는 자의 비중은 절반(49.7%, 2022년 5월 기준)에 달했다. 이는 2017년 5월(43.8%) 대비 5.9%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지난 5월 기준 국민·기초연금, 개인연금 등을 모두 포함한 공·사적 연금 월평균 수령액은 2인 기준 138만이다. 이는 지난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조사한 '은퇴 후 최소 생활비'는 월 216만원의 약 64%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고령층부가조사에 따르면 55~79세 고령인구 10명 중 7명(68.5%)은 장래에도 근로하기를 희망했다. 그 이유로 '생활비 보탬'이 57.1%로 가장 높았다.

은퇴 이후 재취업이 안되는 고령자들은 생계 유지를 위해 창업에 나서고 있다. 최근 5년간 (2018년~2021년) 15세 이상 전체 자영업자 수는 2017년 573만3000명에서 2021년 555만명으로 3.2% 감소했지만, 60세 이상 자영업자는 159만2000명에서 193만3000명으로 21.4%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60세 이상 자영업자 10명 중 9명은 고용원이 없는 '나 홀로' 자영업자였다. 이는 2017년 137만1000명에서 2021년 168만5000명으로 22.9% 늘었다.

문제는 대다수의 고령 자영업자들이 부족한 창업자금으로 사전 시장 조사 없이 급박하게 사업을 시작한다는 점이다. 통계청 비임금근로 부가조사에 따르면 2021년 8월 기준 1년 이내 사업을 시작한 60세 이상 자영업자 10명 중 4명(43.0%)은 '500만원 미만'으로 창업을 시작했고, 64.5%는 창업 준비기간이 '1~3개월 미만'이었다. 

또한 2019년 기준 월평균 영업이익이 최저임금(주40시간 기준 174.5만원)보다 낮은 소상공인 비중에서는 60세 이상(53.6%), 50대(37.3%), 40대(36.8%), 30대(34.6%), 20대(34.3%) 순으로 나타났다.

초고령사회를 코앞에 두고 있는 시점에서 여전히 노인빈곤율도 심각해 향후 노인 빈곤 문제가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OECD인구 전망을 보면 2022년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7.5%다. 3년 뒤인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를 코앞에 두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2020년 기준 40.4%로, OECD 조사대상 37개국 중 압도적으로 높았고, OECD 평균(14.3%)의 2.8배에 달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