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미리캔버스/디자인=안지호 기자
사진=미리캔버스/디자인=안지호 기자

 

국내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는 폭발적으로 급증하여 2039년에는 1000만 가구를 돌파할 것으로 파악된 가운데, 독거노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빈곤율 역시 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았다. 

29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고령자 통계'를 발표했다.

2022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 8000명(17.5%)으로 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어 2035년에는 30.1%, 2050년에는 40%를 넘어설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 도달 연수가 7년으로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스트리아의 경우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에 도달하는 기간이 53년으로 가장 길었고, 영국은 50년, 미국 15년, 일본은 10년으로 조사됐다.

특히 가구 유형별로 보면 독거노인이 36.1%로 가장 많았고, 부부가 35.2%, 부부+미혼자녀가 9.2%순이다. 독거노인 비중은 2030년 37.4%, 2040년 39.1%, 2050년 41.1%로 전망돼 꾸준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2021년 기준 전체 이혼 건수는 전년 대비 4.5% 감소했지만, 65세 이상 남자와 여자의 이혼 은 각각 13.4%, 17.5% 증가했다. 전체 이혼 건수에서 65세 이상 남녀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1.0%, 6.1%이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표=통계청
표=통계청

 

아울러 한국의 66세 이상 은퇴 연령층은 OECD 회원국 중 상대적 빈곤율이 가장 높았다.

2020년 66세 이상 은퇴 연령층의 소득분배지표는 상대적 빈곤율 40.4%, 지니계수 0.376, 소득 5분위 배율 6.62배다. 이는 2019년 기준 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21년 65세 이상 고령자 고용률은 34.9%으로 0.8%p 상승했지만, 실업률은 3.8%로 2018년 이후 덩달아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전년대비 0.2%p 상승했다.

2021년 기준 본인·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고령자 비중은 65.0%로 지난 10년간 13.4%p 증가했다. 이어 정부·사회단체 지원도 17.2%로 8.1%p 증가했다. 고령층의 생활비 마련 방법으로는 본인·배우자가 근로·사업소득으로 마련하는 방법이 48.3%로 가장 많았고, 연금·퇴직금 35.1%, 재산소득이 10.5% 순이다.

아울러 2022년 65세~79세 고령자 중 54.7%가 취업 의사를 보였다. 이는 지난 10년간 12.1%p 증가했으며, 취업을 원하는 이유로는 생활비 보탬이 53.3%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지난해 고용 불안감을 느끼는 고령 취업자는 44.9%이며 이 또한 10년 동안 3.7%p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5세~69세가 50.4%로 가장 높았고, 70~79세는 42.3%, 80세 이상은 29.6%가 고용불안감을 느꼈다.

2021년 노후를 준비하는 고령자는 56.7%로 지난 10년간 16.6%p 증가했다. 노후를 준비하는 방법은 국민연금 48.4%, 예·적금 17.1%, 직역연금 11.1% 순이다. 반면 노후 준비를 하고 있지 않은 고령자는 43.3%였다.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준비할 능력이 없다는 응답이 59.1%로 가장 높았고, 자녀에게 의탁이 29.0%로 응답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