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 "지난주에 여름휴가를 맞이해 계곡에 놀러 갔다가 유기견을 발견해 신고한 적 있어요. 최근에는 집 근처에도 유기견이 자주 보이더라고요.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면서 그만큼 유기동물도 동시에 늘어난 것 같아요." -서대문구 40대 김 모 씨

#.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사료, 동물용품, 미용, 간식, 동물병원 비용만 보더라도 만만치 않아요. 거기에 반려견 같은 경우에는 꾸준히 산책도 시켜줘야 하고요. 반려동물이 단순히 귀여워서 키우고싶다는 생각을 안 했으면 좋겠습니다. 막상 키워보니 쉽지 않거든요. 소중한 생명을 끝까지 책임질 수 있는 마음이 정말 중요해요. 이러한 부분이 유기동물이 늘어나는 이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30대 반려인 권 모 씨

반려동물 양육 가구 1500만 시대에 유기·유실동물 문제는 여전히 고민이다. 특히 매년 여름휴가철 시기에 기르던 반려동물을 유기하는 사례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반려동물 등록 자진신고, 동물유기 방지 등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효과성에 대한 비판도 적지 않다.

27일 동물자유연대 이슈리포트 '2021년 유기·유실동물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유실·유기동물 건수는 총11만6984건으로 집계됐으며, 그중 6월이 1만1836건(10.1%)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2020년 발생한 유기·유실 동물 건수는 총 12만8717건이며, 가장 높았던 달은 7월로 1만1836건(9.4%)이다. 이는 여름철에 유실·유기동물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동일한 패턴을 보였다.

이렇게 보호소로 옮겨진 유기·유실동물들은 입양이 되지 못하는 경우 대부분 보호소에서 생을 마감한다. 지난해 입양·반환된 건수는 각각 3만8044(32.5%)건, 1만4006(12.0%)건이었다. 반면 자연사는 3만209(25.8%)건, 안락사는 1만8406(15.7%)건으로 지난해 보호소에서 생을 마감한 동물만 총 6만8253(41.5%)건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보호소에 입소해 운이 좋으면 입양·반환되기도 하지만, 절반 가까운 동물들이 죽음에 놓인다. 동물보호법 규정에 따르면 유기·유실동물이 보호소에 입소하게 되면 7일 이상 공고하게 된다. 하지만 공고일로부터 10일 이상 소유자나 입양자가 나타나지 않게 되면 일정기간 후 안락사 처리된다.

올해 전국 각 지자체는 동물 보호와 유실·유기 방지를 위해 오는 8월 말까지 '동물등록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동물등록 자진신고는 2014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다. 2개월령 이상된 반려견은 30일 이내 지정 동물병원 등에서 의무적으로 등록해야 한다. 반려동물을 등록·변경하지 않은 경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어 오는 9월 1일부터 등록하지 않은 동물에 대한 집중 단속에 나설 예정이다.

아울러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3일부터 다음 달 29일까지 여름휴가철 반려동물 유기 및 유실을 막기 위한 '민·관 합동 홍보 캠페인'을 실시한다. 동시에 지자체·동물보호단체 및 동물보호 명예감시원 등과 함께 캠페인을 진행한다.

하지만, 여전히 정책 시행이 실질적으로 미흡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7년째 반려견을 돌보고 있는 정 모(30대)씨는 "반려동물 자진신고 집중 단속을 한다는 소식은 매일 듣지만, 실제로 반려견과 산책을 매일 가더라도 동물등록 단속을 하는 모습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면서 "실제로 단속이 이뤄지는지 의문이 드는 것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시행이 가능한지, 과태료를 적용하는지 궁금하다"라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유기·유실동물 방지를 위한 단순 조치에만 나설 것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경기도의 한 동물보호센터 관계자는 "유기동물은 매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명 존중에 대한 교육,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조성, 동물 등록 제도 강화 등 보다 구체적인 정책 반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